LIST
-
[Python] 리스트 조작 함수 정리Study/Python 2021. 5. 3. 12:58
함수 - 설명 리스트명.append(값) - 리스트 맨 뒤에 항목을 추가한다. 리스트명.pop() - 리스트 맨 뒤의 항목을 빼낸다(삭제) 리스트명.sort() - 리스트 항목을 정렬한다. 리스트명.reverse() - 리스트 항목의 순서를 역순으로 정렬한다. 리스트명.index(찾을값) - 지정한 값을 찾아 해당 위치를 반환한다. 리스트명.insert(위치, 값) - 지정된 위치에 값을 삽입한다. 리스트명.remove(지울값) - 리스트에서 지정한 값을 삭제한다. 단, 지정한 값이 여러 개면 첫 번째 값만 삭제. 리스트명.extend(추가할리스트) - 리스트 뒤에 리스트 추가. 리스트의 + 연산 기능과 동일. 리스트명.count(찾을값) - 리스트에서 해당 값의 개수를 센다. 리스트명.clear() -..
-
[Python] 리스트Study/Python 2021. 5. 2. 12:43
리스트란? - 데이터들을 모아서 관리. - 인덱스를 갖는 시퀀스 자료형 - 리스트에는 어떤 자료형의 데이터라도 저장할 수 있음. - 많은 데이터를 수월하게 처리 가능. - List = [10, 20, 50, 30, 25] 이런 형식 - 다른 자료형의 데이터를 리스트로 변환할 수 있음. 리스트 인덱싱, 슬라이싱 - 리스트 인덱싱은 문자열과 같음. - 리스트는 mutable 객체. 인덱싱을 이용해 리스트를 수정해도 id가 그대로임. - 슬라이싱을 이용해 리스트를 수정할 때, iterable 자료형(리스트, 튜플 등)을 대입해야 함. 리스트에 연산자 사용 - +, += : 두 리스트 연결하기 - *= : 리스트를 반복 (List *= 3) - in, not in : 리스트에 원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연산자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