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네트워크] 세션 계층
    Study/Network 2022. 6. 27. 22:52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세션 계층

     

    세션 계층의 기능

    - 기본적으로 세션 연결의 설정과 해제, 세션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이 있다.

    - 동기 기능 : 통신 양단에서 서로 동의하는 논리적인 동기점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한다.
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오류 복구를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.
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동기점 설정 이전까지는 서로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합의했다는 의미이다.

    - 대화 단계 : 메시지 전송 과정을 의미한다.
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시간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동기점을 부여해 신뢰성 보장 기능을 단계적으로 구현 가능하다.

     

    토큰

    - 두 응용 프로세스의 대화를 관리한다.

    - 토큰 보유는 토큰에 부여된 특정한 권리를 배타적으로 소유한다는 의미이다.

     

    토큰 종류

    - 데이터 토큰 :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한다.

    - 해제 토큰 : 통신 양단 간의 연결 해제 과정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한다.

    - 동기 토큰 : 세션 연결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동기 처리가 필요한 시점에 사용한다.

     

    토큰과 동기점

    - 동기점의 부여 : 큰 파일을 작은 파일로 구분하는 과정이다.
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큰 파일을 전송하는 과정의 중간중간에 동기점을 부여한다.
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동기점이 부여되었다는 의미는 해당 내용까지는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의미이다.
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따라서 전송 과정에 오류가 발생해도 동기점 이후의 과정만 복구하면 된다.

    - 주동기 토큰 : 특정 대화 단위를 구분한다.

    - 부동기 토큰 : 대화 단위를 세분화시켜서 구분한다.

     

    동기

    - 세션 연결을 사용해 데이터를 주고받다가 오류 발생 시, 이를 효과적으로 복구할 수 있게 해준다.

     

    재동기 기능

    - 재동기 : 동기점을 이용한 일련의 복구 과정이다.

    - 주동기점 : 주동기점이 설정된 곳은 완벽히 처리되었다는 의미이다.
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즉, 주동기점 이전의 복구 과정은 필요하지 않다.

    - 부동기점 : 복구에 필요한 백업 정보가 상대적으로 적어 오류 복구가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.
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이전 부동기점에서 복구가 불가능하면 직전 부동기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한다.

     

    액티비티 기능

    - 세션 프로세스 사이에 논리적으로 설정되는 단위이며, 상호독립적이다.

    - 액티비티 단위의 시작과 끝의 표시는 주동기점의 설정가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.

     

    세션 연결

    - 다중 세션 연결을 지원하는 서버 : 하나의 서버 프로세스가 다수의 클라이언트를 동시에 지원한다.
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서비스 시간이 짧은 경우에 유리하다.
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서비스 시간이 길면 클라이언트의 대기 시간이 무한정 증가할 수 있다.

    - 단일 세션 연결을 지원하는 서버 : 하나의 서버 프로세스가 하나의 클라이언트만 지원한다.
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대표적인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연결 요청을 처리하고, 하위 서버 프로세스를 생성한다.
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개별 요구마다 하위 프로세스를 생성하기 때문에 초기 서비스 환경 구축에 따른 오버헤드가 증가할 수 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Designed by Tistory.